애리조나의 봄 (시와 시인의 말) > 글동네

사이트 내 전체검색

글동네

애리조나의 봄 (시와 시인의 말)

페이지 정보

글씨크기

본문

애리조나의 봄
강위덕 

 

애리조나의 시가지는 고무 아스팔트다 무서운 속도로 달리면 차는 무게의 심지를 박는다 고가 도로의 급커브 길은 방축 뚝처럼 경사져 있다 경사진 길 위로 가파르게 회전할 때는 마음도 몸도 기울어진다 북극성 탯줄에 매달린 배꼽 같다 절대로 놓치는 순간은 없다 건물도 수평선도 다 경사진 체 길을 구부리기도 하고 펴기도 하면서 풀어줬다가 끌기도 한다 머리를 하늘에 툭툭 치면서 더 가질 수 없는 후회의 반경을 맴돌다가 어떤 때는 궤도를 이탈하기도 한다 맨눈으로 태양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욕조의 마개가 빠진 것처럼 팽팽한 끝점이 소용돌이친다 롤러스케이트를 타고 가다 허공의 벽을 손으로 쳐 그 반동의 힘을 빌어보지만 지난 겨우내 잡풀들의 죽은 뿌리가 뚝방을 움켜잡듯 물크덩한 차의 손발이 물크덩한 고무 아스팔트를 저리 움켜잡는다 그러나 인간의 운명이 꼬꾸라질 때가 되면 차는 허리를 구부리고 두엄 무지로 인간을 내려놓는다 그럴 때면 두엄 무지와 함께 삶도 썩어간다 푹푹 썩어가며 발생하는 더운 더움 무지는 겨울의 숨이다 저 봄, 오라고 손짓해도 죽을힘으로 버티고 있는 봄, 그러나 봄은 오고야 만다 차가 멎으니 고가도로가 산 너머로 날아간다 바람과 바람이 부딪치는 반음 낮은 소리가 지성의 냄새를 아우르며 한 소절 자리바꿈할 때 연료 한 개론에 4불 10전, 우습게 비극적으로 말하자면 값이 싼 연료를 넣기 위해 두꺼운 거리의 벽을 뚫고 소모의 방위선을 넘나든다 저 하찮은 근검절약의 엉겅퀴를 지나 비싸게 허비한 낭비벽이 캄캄한 심연 한곳을 쩍! 쪼갠다

고속도로 위에는 더 자명한 겨울의 하얀 별똥별이 소복이 쌓여 있다 쏟아진 별이 하늘의 별보다 더 많다 어떤 별똥별은 삐끗 갈빗대를 접질려 한쪽 어깨가 쏟아져 내린다 어떤 별은 아예 운도 안 비치고 밝게 아스팔트의 바닥을 공공연히 들어내 놓고 비스듬히 서 있다 이마께로부터 깎여 나간 별들은 햅쌀밥 빛깔을 서둘러 하늘빛 빛깔로 변신하며 겨울을 떠날 준비에 어수선하다 아직도 건너편 담벼락에 기대어 언제쯤 자신이 감쪽같이 사라질 수 있는지 초조하게 시간을 재는 눈사람처럼 아무런 혐의 없이도 바람에 쫓기는 17세 가출 소녀가 고가도로에서 투신하던 날 봄은 시작되고 있다


 

해설
이 주일에 들어 저에게는 몇 개의 라이선스를 더 가지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는 드라이브  라이선스 밖에 없었습니다.

여름을 살면서 봄의 시(詩)를 쓸 수 있는 라이선스,

118도의 무더운 애리조나를 온통 눈으로 덮어버리는 라이선스,

아마 이것은 시인만이 갖는 라이선스 일런지도 모릅니다.

얼마 전 젊은이의 결혼식을 돕기 위하여 법원에 간적이 있습니다.

판사의 주례로 결혼식을 치른 후 결혼 라이선스를 발부받았습니다.

3일 후에는 결혼증명서를 가지로 오라는 것입니다.

운전 면허증을 가지고 있으면 운전을 할 수 있듯,

결혼 면허증을 가지고 있으면 부부관계를 해도 된다는 면허증이라는 것입니다.

만일 부부 생활에 결격사유가 있으면 면허정지가 된다는 것입니다.

아마 한국의 문화권과는 달리 한번 결혼을 잘못함으로

일생을 망치는 불행을 막자는 이유일는지도 모릅니다.
 인간 세계(카오스)를 살아 나가는 데는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철학과 과학과 예술입니다.

철학은 개념을 만들고, 과학은 함수를 만들고,

예술은 감각을 만든다는 논리입니다.

이러한 논리를 주장한 사람은

들뢰즈(G. Deleuze, 1925-1995)와 가타리(F. Guattari, 1930-1992) 두 사람입니다.

내재평면(Plane of Immanence)이란 어려운 개념을 동원하여

그들이 펼치는 학문적 업적을 요약하는 일은 거위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러나 나는 감히 그런 불가능을 범하는 불손을 저지르고 싶습니다.

글쓰기와 사유는 그런 불손을 저지르지 않고는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책을 읽으며 밑줄을 긋는 것만이

독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아닙니다.

때로는 마주 앉아 잠시 나눈 이야기 내용이

뇌 안에서 일정한 자리를 점유하고 의미 운동에 시동을 겁니다.

그때그때의 관심의 방향을 좌우하는 지표를 만들어 내는 것은 곧 창작입니다.

헌 타이어를 합성하여

고무 아스팔트를 깐 애리조나의 도로를 하나하나 뜯어보면

마치 비행기를 타고 하늘을 날다가 엔진을 끄고 비행하는 것 같습니다.

최고 120도의 뜨거운 날씨에도 합성고무 아스팔트는 늠늠합니다

애리조나는 눈이 내리지 않는 곳입니다.

그러나 하늘의 별을 유추하여 눈이라 써 놓고

눈 내리는 애리조나를 상상합니다.

봄이 되자 눈이 녹아내리고

물가가 폭동하고

가출한 소녀가 투신하는 사연들의 실마리는

1년을 가름하는 봄의 시작입니다.

내재평면(Plane of Immanence) 논리를 언급했습니다만

생각에 잠긴 플라톤은

장미가 무엇인가? 라고 물었습니다.

지금 눈앞에 보이는 장미는 장미의 본질이 아니라고 스승이 대답했습니다.

그러니까 현실의 장미는 그림자에 불과하고

이데아(idea, 관념)의 세계에 본질의 장미가 있다는 것입니다.

내재(immanence)는 현실 그 자체에 신이 깃들어 있다는 리얼리즘입니다.

그 자유로운 사유의 장(場)이 바로 내재의 평면입니다.

내재의 평면에서 사유는

종횡으로 내닫는가하면,

수직으로 떨어지기도 하고,

무한 질주를 하다가

아주 느리게 흐르기도 합니다.

마치 준마가 주름진 계곡을 만나서 넘어지고 쓰러지면서도

질주할 수 있는 초원과 같이 부드러운 공간입니다.

자 여러분 이 무더운 여름, 시인은 아니더라도

상상의 세계에서 여러분만이 소지할 수 있는 특별한 라이선스를 소지해 보시지요.

이열치열이라는 말도 있습니다만

이 무더운 여름, 추운 겨울을 상상하면서 추위에 떨어보십시오.

아마 이 여름을 더 시원하게 지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KASDA Korean American Seventh-day Adventists All Right Reserved admin@kasd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