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를 사랑하사 그의 피로 우리 죄에서 우리를 해방하…신 그에게 영광과 능력이 세세토록 있기를 원하노라” > 엘렌의 글방

사이트 내 전체검색

엘렌의 글방

“우리를 사랑하사 그의 피로 우리 죄에서 우리를 해방하…신 그에게 영광과 능력이 세세토록 있기를 원하노라”

페이지 정보

글씨크기

본문


중보자 예수 그리스도

인류의 중보자로서의 그리스도의 사업은 “순(나무의 싹)이라 이름하는 사람”에 대하여 말한 스가랴의 아름다운 예언에 나타나 있다. 

그는 “자기 곳에서 돋아나서 여호와의 전을 건축하리라 

그가 여호와의 전을 건축하고 영광도 얻고 그(아버지의) 위(位)에 앉아서 다스릴 것이요 

또 제사장이 자기 위에 있으리니 이 두 사이에 평화의 의논이 있으리라”(슥 6:12, 13)고 말한다.


416 “그가 여호와의 전을 건축하”리라. 

당신의 희생과 중보를 통하여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의 교회의 기초와 건축가가 되신다. 

사도 바울은 그분을 “모퉁잇돌”이라고 지적하고, “건물마다 서로 연결하여 주 안에서 성전이 되어”간다고 말한다.

또한 “너희도 성령 안에서 하나님의 거하실 처소가 되기 위하여 예수 안에서 지어져 가느니라”(엡 2:20~22)고 한다.


“영광도 얻”으리라.

타락한 인류를 구속하신 영광은 그리스도께 속한 것이다. 


구속함을 받은 자들이 영원무궁토록 부를 노래는 

“우리를 사랑하사 그의 피로 우리 죄에서 우리를 해방하…신 그에게 영광과 능력이 세세토록 있기를 원하노라”(계 1:5, 6)는 노래가 될 것이다.


“그 위에 앉아서 다스릴 것이요 또 제사장이 자기 위에 있으리”라. 


아직 영광의 나라가 시작되지 않았으므로 그 영광의 위에 나아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중보자로서의 봉사를 마치실 때에 

하나님께서는 “그 조상 다윗의 위를 저에게 주실 것인데” 그것은 “그 나라가 무궁하리라”고 한 그 나라이다(눅 1:32, 33). 


지금 그리스도께서는 제사장으로서 아버지와 함께 보좌에 앉아 계신다(계 3:21 참조). 


영원하시고 자존하신 하나님과 함께 보좌에 앉아 계신 주님은 “우리의 질고를 지고 우리의 슬픔을 당하”셨고, 

“모든 일에 우리와 한결같이 시험을 받은 자로되 죄는 없으시”므로 

“시험받는 자들을 능히 도우시”는 분이시다. 


“만일 누가 죄를 범하면 아버지 앞에서 우리에게 대언자가 있”다(사 53:4; 히 4:15, 2:18; 요일 2:1). 


그분께서는 당신의 무죄하신 생애와 상하고 찔림을 받은 몸을 가지고 중보하고 계신다. 


그분께서는 상하신 손과 찔림을 받으신 옆구리와 상처 난 발을 가지고 죄에 빠진 인류를 위하여 탄원하신다. 


그들의 구속은 그처럼 무한한 값을 치르고 이루어졌다.



“이 두 사이에 평화의 의논이 있으리라.” 

성자(聖子)의 사랑보다 약하지 않은 아버지의 사랑이 타락한 인류의 구원의 기초가 된다. 

예수께서는 제자들을 떠나가시기 전에 그들에게 “내게 너희를 위하여 아버지께 구하겠다 하는 말이 아니니…아버지께서 친히 너희를 사랑하심이니라”

(요 16:26, 27)고 말씀하셨다. 417 


“하나님께서 그리스도 안에 계시사 세상을 자기와 화목하게 하”(고후 5:19)셨다. 


하늘 성소의 봉사로써 “두 사이에 평화의 의논”을 이루셨다.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요 3:16).



성소의 정결

성소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성경은 분명한 해답을 준다. 

성경에서 사용하고 있는 성소라는 말은 

첫째, 하늘 성소의 식양을 따라 모세가 지은 장막을 가리키고 

둘째, 지상의 성소가 가리키는 하늘에 있는 참 성소를 말한다. 


그리스도의 죽음으로 모형적 봉사는 끝났다. 


하늘에 있는 참 성소가 새 언약의 성소이다. 


그런데 다니엘 8장 14절의 예언은 현대에 성취될 예언이므로 거기 말한 성소는 새 언약의 성소가 되어야 한다. 


2300주야가 끝나는 1844년에는 여러 세기 전부터 지상에 이미 성소가 없었다. 


그러므로 “이천삼백 주야까지니 그 때에 성소가 정결하게 함을 입으리라”고 한 예언이 하늘에 있는 성소를 가리키는 것임은 전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러나 성소의 정결이 무엇이냐고 하는 가장 중요한 의문이 해답되지 아니한 채 남아 있다. 

구약 성경은 지상 성소와 관련하여 성소를 정결하게 하는 봉사가 있었던 것을 말한다. 


그런데 하늘 성소에도 정결케 할 무엇이 있을까? 

히브리서 9장에는 지상 성소와 하늘 성소의 정결에 대하여 분명히 가르쳐 준다. 

“율법을 좇아 거의 모든 물건이 피로써 정결케 되나니 피 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느니라 

그러므로 하늘에 있는 것들의 모형은 이런 것들로써 정결케 할 필요가 있었으나 

하늘에 있는 그것들은 이런 것들보다 더 좋은 제물로 할지니라”(히 9:22, 23). 


좋은 제물은 그리스도의 보혈이다.


모형과 실체에 있어서, 둘 다 정결하게 하는 일은 피로써 하는데, 먼저 것은 짐승의 피로 할 것이요 나중 것은 그리스도의 피로 해야 한다. 418 


사도 바울은 이와 같이 정결하게 하는 일을 피로써 해야 할 이유를 말하면서 피를 흘림이 없이는 사함이 없다고 한다. 


사유하는 일, 곧 죄를 없이하는 일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일이다. 



그런데 죄가 어떻게 하늘 성소와 지상 성소에 관련하여 존재할 수 있었는가? 


그 사실은 표상적인 봉사에서 배울 수 있다. 


왜냐하면 지상에서 그 직분을 행한 제사장은 “하늘에 있는 것의 모형과 그림자”(히 8:5)에서 봉사하였기 때문이다.


지상 성소의 봉사

지상 성소의 봉사에는 두 가지가 있다. 

제사장들은 매일 성소에서 봉사하였고, 대제사장은 매년 한 번씩 성소의 정결을 위하여 지성소에서 특별한 속죄의 봉사를 행하였다. 


죄를 뉘우치는 죄인은 날마다 그의 제물을 성막의 문으로 가지고 와서 희생 제물의 머리 위에 자기의 손을 얹고, 그의 죄를 고백함으로 

그 죄는 상징적으로 자기 자신에게서 흠없는 희생제물에게로 옮겨졌다. 

그런 다음에 그 짐승은 죽임을 당하였다. 


사도 바울은 “피 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느니라”고 말한다. 

“육체의 생명은 피에 있음이라”(레 17:11). 


하나님의 율법은 범죄자의 생명을 요구하였다. 


죄인의 빼앗긴 생명을 나타내는 피, 

곧 죄인의 생명을 대신하는 그 희생 제물의 피는 

제사장으로 말미암아 성소로 옮겨져서 그 휘장 앞에 뿌려졌는데,

그 휘장 너머에는 그 죄인이 범한 율법을 넣어둔 법궤가 있었다. 


이러한 의식을 통하여 죄는 피를 통하여 상징적으로 성소에 옮겨졌다. 

또 어떤 경우에는 피를 성소로 가져가지 않았다. 

그러나 모세가 아론의 아들들에게 

“이는 너희로 회중의 죄를 담당하여 그들을 위하여 여호와 앞에 속하게 하려고 너희에게 주신 것이니라”(레 10:17)고 한 지시대로 제사장이 그 고기만 먹었다. 

그 의식들은 다 같이 죄가 회개한 자에게서 성소로 옮겨지는 것을 상징하였다.


그와 같은 일은 일 년 내내 매일 진행된 사업이었다. 


이스라엘의 죄는 성소로 옮겨졌는데, 그 죄를 도말하기 위하여 특별한 봉사가 필요하였다. 


그래서 하나님께서는 성소와 지성소를 위하여 속죄하라고 명령하셨다. 419 



“이스라엘 자손의 부정과 그 범한 모든 죄를 인하여 

지성소를 위하여 속죄하고 또 그들의 부정한 중에 있는 회막을 위하여 그같이 할 것이요.” 

또한 단을 위하여도 속죄가 이루어져야 했으므로 “이스라엘 자손의 부정에서 단을 성결케 할 것이요”라고 하였다(레 16:16, 19).


대제사장은 일 년에 한 번 대속죄일에 성소를 정결케 하기 위하여 지성소로 들어갔다.

이 봉사로 말미암아 일 년간 매일 행한 봉사가 완결되는 것이었다. 

이 속죄일에 두 마리의 염소 새끼를 성막 문으로 끌고 와서 그 둘을 제비 뽑아 “한 제비는 여호와를 위하고 한 제비는 아사셀을 위하”(레 16:8)게 하였다. 

그리하여 여호와를 위하여 뽑힌 염소는 백성을 위한 속죄물로 죽임을 당해야 하였다. 

그리고 대제사장은 그 피를 휘장 안으로 가져가서 속죄소 앞과 그 위에 뿌렸다. 

또한 그 피는 휘장 앞에 있는 분향단 위에도 뿌려져야 하였다.


“아론은 두 손으로 산 염소의 머리에 안수하여 

이스라엘 자손의 모든 불의와 그 범한 모든 죄를 고하고 그 죄를 염소의 머리에 두어 미리 정한 사람에게 맡겨 광야로 보낼지니 

염소가 그들의 모든 불의를 지고 무인지경에 이르거든 그는 그 염소를 광야에 놓을지니라”(레 16:21, 22). 


아사셀은 다시 이스라엘 진중에 돌아오지 못하였고, 그것을 끌고 간 사람은 그 의복을 빨고 목욕한 후에야 장막으로 돌아왔다.



모형과 실체

그 모든 의식은 

이스라엘 자손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주님께서 죄를 가증히 여기심을 깊이 깨닫게 해줄 뿐 아니라

또한 죄와 접촉하면 반드시 부정하게 된다는 것을 나타내 보이기 위한 것이었다. 


이 속죄의 사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각 사람은 통회하고 마음을 괴롭게 하여야 하였다. 

그날에 모든 사람은 일을 전폐하고, 

이스라엘의 온 회중이 엄숙하게 하나님 앞에 자신을 겸비하게 하고, 

기도하고, 

금식하고, 

마음을 깊이 살피는 가운데 지내지 않으면 안 되었다.


420 속죄에 관한 중요한 진리가 이 모형적 의식을 통하여 알려졌다. 

죄인의 대속물이 죄인을 대신하여 열납되었으나 죄는 그 희생 제물의 피로 없어지지 않았다. 

다만 어떤 수단에 의하여 죄가 성소로 옮겨졌을 뿐이었다. 


죄인은 피를 드림으로써 

그가 율법의 권위를 시인하고 

자기가 범한 죄를 고백하고 

장차 오실 구속주를 믿는 믿음을 통하여 용서를 바라고 있다는 자신의 소원을 표시하였다. 


그러나 그것으로 그가 율법의 선고에서 완전히 해방된 것은 아니었다. 



대속죄일에 대제사장은 

회중에게서 받은 제물을 취하여 그 제물의 피를 가지고 

지성소에 들어가 

바로 율법을 넣어둔 법궤의 뚜껑에 해당되는 속죄소 위에 그 피를 뿌려

그 율법의 요구를 충족시켰다.


그리고 대제사장은

중보자의 자격으로 

모든 죄를 자기가 지고

성소에서 그 죄를 옮겼다. 


그는 그의 손을 염소의 머리 위에 얹어 

그 모든 죄를 고백함으로 상징적인 의미에서 그 죄를 자기 자신에게서 염소에게로 옮겼다. 

그 후에 그 염소는 쫓겨나게 되었는데, 그것으로써 죄가 영원히 백성에게서 분리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상은 “하늘에 있는 것의 모형”으로 행한 의식이었다. 


그런데 지상 성소에서 모형으로 행한 일은 하늘 성소의 봉사에서 실제적으로 행해진다. 


우리 주님께서는 승천하신 후 우리의 대제사장으로 당신의 사업을 시작하셨다. 


바울은 “그리스도께서는 참 것의 그림자인 손으로 만든 성소에 들어가지 아니하시고 

오직 참 하늘에 들어가사 이제 우리를 위하여 하나님 앞에 나타나시고”(히 9:24)라 말한다.



성소와 성막 뜰을 갈라놓고 문의 역할을 했던 “휘장 안”, 

곧 성소의 첫째 칸에서 일 년 내내 행한 제사장의 봉사는 

그리스도께서 승천하셔서 행하신 봉사 사업을 나타낸다. 


하나님 앞에 속죄 제물의 피를 드리고 

이스라엘 자손들의 기도와 함께 올라간 향을 피우는 것은 

매일의 봉사에서 제사장이 하는 일이었다. 421 


그와 마찬가지로 그리스도께서는 죄인을 위하여 

당신의 피를 가지시고 아버지께 탄원하며, 

회개한 신자들의 기도를 당신의 귀중한 의의 향기와 함께 그분 앞에 드리신다. 

그와 같은 것이 하늘 성소의 첫째 칸에서 행하는 봉사 사업이었다.


그리스도께서 승천하실 때 그리스도의 제자들은 믿음으로 그분을 따라갔다. 

그들은 그들의 소망을 거기 집중시켰다. 

그 소망에 대하여 바울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우리가 이 소망이 있는 것은 

영혼의 닻 같아서 튼튼하고 견고하여 휘장 안에 들어가나니 

그리로 앞서 가신 예수께서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아 영원히 대제사장이 되어 우리를 위하여 들어가셨느니라”,


“염소와 송아지의 피로 아니하고 오직 자기 피로 영원한 속죄를 이루사 단번에 성소에 들어가셨느니라”(히 6:19, 20, 9:12).



속죄 사업의 종결과 우리

약 1800년 동안 성소의 첫째 칸에서 이 봉사 사업이 계속되었다. 


회개한 죄인들은 그들을 위하여 애소하시는 그리스도의 피로 말미암아

죄의 용서를 얻고 아버지께 가납되었으나

그들의 죄는 여전히 기록 책에 남아 있었다. 


모형적 봉사에서 일 년의 마지막에 속죄 사업이 있었던 것처럼,

인류의 구속을 위한 그리스도의 사업이 마치기 전에 성소에서 죄를 도말하기 위한 속죄 사업이 있게 된다.


그것은 2300주야가 끝났을 때 시작된 사업이다.


선지자 다니엘이 예언한 바와 같이 

그때에 우리의 대제사장께서는 

지성소에 들어가셔서

가장 엄숙한 부분인 최후의 봉사, 

곧 성소를 정결케 하는 일을 수행하고 계신다.


구약 시대에 

백성들의 죄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속죄 제물에게로 옮겨지고 

그 제물의 피를 통하여 

죄는 상징적으로 다시 성소로 옮겨졌던 것처럼 


새 언약에는 

회개한 자의 죄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에게로 옮겨지고, 

그리스도께서는 그것을 실제적인 하늘 성소로 옮기셨다. 


그런데 마치 모형적 지상 성소의 정결이 그것을 더럽혀 왔던 죄를 도말함으로 되었던 것처럼 


하늘 성소의 실제적인 정결도 거기에 기록된 죄를 도말하거나 제거해 버림으로 이루어진다. 422 


그러나 이 일이 이루어지려면 

누가 죄를 회개하고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으로 

속죄의 혜택들을 받을 자격이 있느냐 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하여 

기록책을 조사하는 일이 있어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KASDA Korean American Seventh-day Adventists All Right Reserved admin@kasd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