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과 배도와 중보 > 안교교과

사이트 내 전체검색

안교교과

11과 배도와 중보

페이지 정보

글씨크기

본문

2025년 3기 10과 9월 13일 안식일학교 교과
"배교와 중보"의 
동영상 설교를 보내드립니다. 

  

Hope TV 에서 편집한 아래의 교과 요약은 매주 김숙영 박사님께서 번역해주셨습니다

 

11과 배교와 중보

  

1. 시내산에서의 배도

   ​가) 출애굽기 32:1. 이스라엘 자손이 애굽에서 그들을 구원하신 신실하신 여호와 하나님을 이렇게도 빨리 저버린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됩니까?

   ​나) 출애굽기 32:2-5. 모세의 형 아론의 행동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됩니까?

   ​다) 오늘날 우리의 삶에 적용할 수 있는 교훈은 무엇입니까?

   ​라) 이 배도는 어떻게 하면 막을 수 있었을까요?

   ​마) 출애굽기 32:6. 이 이교적 축제에서 이스라엘 자손은 어떻게 행동하였습니까? (다른 역본들도 참조하세요)

   ​바) 오늘날 사람들이 스스로 만든 신들을 섬기는 방식에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2. 배도에 대한 반응

   ​가) 출애굽기 32:7-10.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보이신 첫 반응은 하나님의 참 성품을 드러낸 것입니까, 아니면 긍휼에 관한 교훈의 기회였습니까?

   ​나) 출애굽기 32:11-13. 모세는 어떻게 반응하였나요?

   ​다) 출애굽기 32:14. 모세가 실제로 여호와의 마음을 바꾸어 더 긍휼을 베푸시도록 한 것입니까?

   ​라) 출애굽기 32:15-19. 모세가 금송아지와 이스라엘 자손의 이교적 환락을 보았을 때 보인 반응에 대해 어떤 생각이 듭니까? 그의 반응이 부적절했음을 보여주는 증거는 무엇인가요? (출애굽기 34:1-4)

   ​마) 출애굽기 32:20. 여기서 모세는 지나치게 반응한 것입니까?

   ​바) 출애굽기 32:21-24. 아론이 한 변명에 대해 어떤 생각이 듭니까? 그가 어떤 반응을 보였다면 좋았을까요?

   ​사) 출애굽기 32:25-28. 이 무차별적인 살육은 여호와의 직접적인 명령으로 이루어진 것입니까, 아니면 여전히 모세의 분노에 따른 행동인가요?

 

3. 백성을 위한 중보

   ​가) 모세가 백성을 위하여 중보한 방식에 대하여 어떤 생각이 듭니까? 출애굽기 32:29-32

   ​나) 모세의 중보와 예수께서 십자가 위에서 하신 중보(누가복음 23:34)를 어떻게 비교할 수 있겠습니까?

   ​다) 누군가 그대를 위해 중보하였던 경험을 나누어 보십시오. 그때 여호와께서는 어떻게 그대에게 자비를 베푸셨습니까?

 

4. 배도의 결과

   ​가) 시내산에서 배교에 가담하고 회개하지 않은 자들에게 어떤 결과가 임하였습니까? 출애굽기 32:33-35

   ​나) 우리가 직접 판단을 내리는 것보다 여호와의 판단을 신뢰하는 것이 언제나 더 나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사무엘상 16:7, 마태복음 7:1 )

   다) 자기 죄를 회개하며 겸손히 긍휼을 구하는 죄인에게 여호와께서 자비를 베푸실 것이라는 어떤 확신이 있습니까? (시편 51:1-2, 시편 86:3-5, 요한일서 1:7-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KASDA Korean American Seventh-day Adventists All Right Reserved admin@kasd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