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사의 기원과 변천? > 신학

사이트 내 전체검색

신학

집사의 기원과 변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정영근메일보내기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2009.09.03 04:44 조회수 6,150
글씨크기

본문

집사의 기원은 신약시대에 분명하게 나타났지만 그 성격상으로 보아 구약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연구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구약성서에서는 성전에 대한 일과 재정을 레위인과 제사장이 관리해 왔다. 신약시대에는 예루살렘 성전 외에 각

지방 마다 성경을 가르치는 회당이 있었는데 여기에 집사가 있어서 성경, 예식서, 기명 등을 관리하고 구제미를 관

리했다고 유대 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초대교회가 흥왕하고 팽창함에 따라 교회 안에 문제가 생기게 되므로 그 봉사를 위하여 7집사를 선택한

것이다. 그러나 사도행전 6장 1절에서 5절까지에는 "집사" 라는 말이 나오지 않는다. 사도행전 21장 8절에 가서 "

일곱 집사 중 하나인 전도자 빌립"이라고 한 것을 보아 택함을 받은 분들이 집사였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신약시대에는 초대교회의 7집사 선택에서 그 유래를 찾는 것은 어원에서 말했듯이 구제와 봉사

사업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집사직분의 실제적인 완전한 원형으로는 주님께서 자신을 수종자(디아코노스 롬 15:8 참조), 종(둘로스 빌

2:6 참조)이라고 한데서 찾을 수 있다.

 

어떻든 오늘날에도 변함없이 집사란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에 순종하여 다른 이에게 섬김을 받으려 하지 아니하고

남을 섬기는데 헌신한 사람을 가리키며 교회 안에서 말 보다 행실로 봉사하는 직분을 위해 선택된 하나님의 일꾼

을 의미한다.

집사의 직분이 중세시대에는 노인, 과부, 병자, 죄의 고백자들을 찾아 방문하고 감독의 지시에 따라 그들을 돌봐주

어야 했다. 이 시기에 목회 직무와 예배의식, 및 예식을 돕는 일로 점차 바뀌었던 것이다. 그리고 스데반, 필립처럼

설교의 직무까지 수행했던 것이다.

종교개혁기인 천주교시대에는 집사직이 쉬퇴했었다. 루터 자신은 가난한 사람들을 돌봐주고 교회의 재산을 관리

하는 사도적 집사의 회복을 원했다. 칼빈은 집사직을 교회의 절대적 직무 중의 하나로 여겼고 가난한 사람 들을

돌보는 일을 그 직무에 정당한 임무로 여겼다.

그러던 것이 종교개혁 이후에는 집사는 성만찬  및 여러 가지 예식의 시중을 들며 가난한 자를 위하여 모금하고

구제하며 신자들 간의 친목을 유지시키며 교회와 세상 간의 사무를 두루 맡았던 것이다. 한편 영적인 성장과 함께

힘을 합하여 교회의 일, 곧 목회의 일을 협력해 나가야 했던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KASDA Korean American Seventh-day Adventists All Right Reserved admin@kasd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