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영상] 향수 鄕愁 Nostalgia (정지용 시) 영상, 가사, 시인 소개 > 음악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음악

* * * [영상] 향수 鄕愁 Nostalgia (정지용 시) 영상, 가사, 시인 소개

페이지 정보

글씨크기

본문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 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비인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벼개를 돋아 고이 시는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흙에서 자란 내마음,

파란 하늘빛이 그리워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러

풀섶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전설바다에 춤추는 밤 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와,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것도 없는

사철 발벗은 아내가 따가운 햇살을

등에지고 이삭 줍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하늘에는 성근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흐릿한 불빛에

돌아앉아 도란도란 거리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




정지용 鄭芝溶 



[1902.5.15~1950.9.25] 



충북 옥천(沃川) 출생. 

서울 휘문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일본 도시샤[同志社]대학 

영문과를 졸업했다. 


귀국 후 모교의 교사,

8·15광복 후 이화여자전문 교수와 경향신문사(京鄕新聞社) 편집국장을 지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순수시인이었으나, 

광복 후 좌익 문학단체에 관계하다가 전향, 


보도연맹(輔導聯盟)에 가입하였으며,

6·25전쟁 때 북한공산군에 끌려간 후 사망했다. 


<meta charset="utf-8">1933년 《가톨릭 청년》의 편집고문으로 있을 때, 

이상(李箱)의 시를 실어 그를 시단에 등장시켰으며,


1939년 《문장(文章)》을 통해 조지훈(趙芝薰)·박두진(朴斗鎭)·박목월(朴木月)의 

청록파(靑鹿派)를 등장시켰다. 


섬세하고 독특한 언어를 구사하여 

대상을 선명히 묘사, 


한국 현대시의 

신경지를 열었다. 


작품으로, 시 《향수(鄕愁)》 《압천(鴨川)》

이른봄 아침》 《바다》 등과, 


시집 《정지용 시집》이 있다.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더 풍성한 삶을 추구하는 ***에녹 블로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KASDA Korean American Seventh-day Adventists All Right Reserved admin@kasda.com